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Tags
- react
- BFC
- 부모요소의 패딩 무시
- 문제해결
- alias설정
- 이즐 #ezl #욕나오는 #교통카드
- 부모패딩
- createPortal
- tailwindCSS
- 조건부스타일
- ?? #null병합연산자
- vite
- es6
- QueryClient
- 함수형프로그래밍
- CustomHook
- ignore padding
- debouncing
- 리액트
- twoarrow
- BlockFormattingContext
- parent padding
- 화살표2개
- accordian
- 서초구보건소 #무료CPR교육
- transition
- Carousel
- DOM
- useQueryClient
- 제어컴포넌트
Archives
- Today
- Total
프론트엔드 첫걸음
Parameter Properties 본문
생성자 파라미터에 접근제어자 붙여 클래스 속성 선언과 초기화를 한번에 할 수 있는 타입스크립트의 문법적 설탕.
class Point {
constructor(public x: number, public y: number) {
// 여기서 this.x = x; this.y = y; 를 안 써도 자동 처리
}
}
const p = new Point(10, 20);
console.log(p.x); // 10
console.log(p.y); // 20
- 생성자 파라미터에 public/private/protected를 붙이면 자동으로 클래스 속성이 만들어지고 this에 할당된다.
- JavaScript가 아니라 TypeScript 컴파일러가 해주는 문법적 설탕(syntax sugar)
아래와 사실상 동일
class Point {
public x: number;
public y: number;
constructor(x: number, y: number) {
this.x = x;
this.y = y;
}
}
'개발 공부 > Type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웹스톰 타입스크립트 파일 실행하기 (0) | 2024.04.27 |
---|---|
type void (0) | 2024.02.23 |
객체 리터럴의 추가 속성 검사 (0) | 2024.02.23 |
object를 enum처럼 사용하기 (0) | 2024.02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