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조건부스타일
- 리액트
- debouncing
- Carousel
- vite
- twoarrow
- BFC
- useQueryClient
- tailwindCSS
- 함수형프로그래밍
- DOM
- QueryClient
- es6
- transition
- 부모패딩
- ?? #null병합연산자
- 제어컴포넌트
- 문제해결
- ignore padding
- react
- 부모요소의 패딩 무시
- CustomHook
- createPortal
- accordian
- parent padding
- 화살표2개
- ㅡ
- alias설정
- BlockFormattingContext
- 서초구보건소 #무료CPR교육
Archives
- Today
- Total
프론트엔드 첫걸음
@font-face 본문
body {
font-family : 'gulim', 'gothic' , 'dotum'
}
- body에 font-family라는 속성으로 사용할 폰트명을 적는다.
- font-family는 상속(inherit)되므로 body에 적용하면 전체에 적용됨
-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된 폰트가 순서대로 보여진다.
위의 경우 사용자의 컴퓨터에 gulim이 없으면 gothic이, gothic이 없으면 dotum이 적용된다)
사용자의 컴퓨터에 없는 폰트를 적용시켜서 보여주고싶으면
CSS파일 최상단에 @font-face 라는 명령어를 넣고, 그 안에 적용할 폰트의 경로와 이름을 적으면 된다.
@font-face {
font-family: 'nanumGothic';
src: url(../font/NanumGothicLight.woff);
}
@font-face {
font-family: 'nanumGothic';
font-weight: 800;
src: url(../font/NanumGothicBold.woff);
}
단, 한글폰트의 용량이 크므로 font-face로 ttf형식의 한글폰트를 적용시킬 때는 1-2개만 넣어야 한다.
사이트가 느려진다.
웹용으로 나온 woff 를 사용하면 용량을 덜 차지하므로 woff를 사용한다.
폰트 파일을 호스팅해주는 Google Fonts를 사용하면
내가 만든 사이트 아니라 구글에서 폰트를 전송해서 트래픽절약하거나 로딩시간 단축할 수 있다.
'개발 공부 > 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font awesome 라이브러리 설치방법 (0) | 2022.07.07 |
---|---|
폰트 부드럽게 처리하기 (0) | 2022.07.06 |
pseudo-class :hover, :focus, :active 스타일 넣을 때 순서 (0) | 2022.07.05 |
th에 width 다르게 줄 때 th:nth-child(n) (0) | 2022.07.05 |
[문제해결] border-collapse와 border-radius가 충돌할 때 (0) | 2022.07.05 |